top of page
.png)
A Proposal of National Symbolic Space for Yongsan Park Construction
용산공원조성의 국가상징공간 제안
용산공원 조성지구 및 주변지역에 대한 지형 자료의 수집과 지형 데이터 기반의 시기별 지형을 복원과 변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, 역사성·장소성에 기반한 문화성이 깃든 용산공원의 한국적 경관 구현에 관한 기초자료 확보와 용산공원 조성 계획과 설계를 보완할 수 있는 원지형에 관한 기초연구가 필요한 시점에 진행된 연구이다.
용산공원의 역사성과 장소성에 대한 역사·인문·사회적인 가치를 심화하기 위한 분석을 하였고, 용산공원의 원지형에 대한 기초자료 조사, 분석 및 3차원 기록화를 하였다. 시기별 3차원 지형변화분석을 통해서 용산공원 주변지역과 연계성을 파악하며 용산공원에 대한 자료관리 및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용산공원 조성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및 용산부지의 원지형 변화분석을 통한 정책(안)을 도출하고자 하였다.
발주처 : 대통령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
Collaboration 함태호(이함 건축사사무소)

1911년 이태원방향에서본용산병영모습 (출처 서울역사박물관 아카이브 번호 H-TRNS-74782-859)

용도 : 제안 및 연구자료
위치 : 용산공원 정비구역
설계 : 2025
PROGRAM : Proposals and research Study
LOCATION : Yongsan Park maintenance area, Korea
DESIGN YEAR : 2025
bottom of page